2025-04-03 코스피 코스닥 주식 경제뉴스 한방정리


2025-04-03 코스피 코스닥 주식 경제뉴스 한방정리

 

📅 발행일: 2025년 4월 3일 목요일


주식시황

2025년 4월 3일, 국내 증시는 코스피 -0.62%, 코스닥 -0.95% 약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여전히 20일 이동평균선 아래 위치하며 금일 저녁 발표에 관심이 기울여 지고 있습니다.

 

주요지수 현황

▼ 코스피: -0.76% (2,486.70)
코스피 2025년 4월 3일
개인 8,005억 순매수 / 외국인 -13,792억 순매도 / 기관 4,613억 순매수 / 연기금 2,723억 순매수
장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보편적관세 정책 및 상대적 관세 정책 발표에 따라 외국인의 13,792억원 매도폭탄에도 기관과 개인의 순매수 하여 하방을 지지하여 주었습니다. 장전 우려와 달리 갭하락으로 시작한 증시는 꾸준히 상승하며 -0.76%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다만 여전히 20일 이동평균선을 하회하며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외국인의 5일째 이어진 대량 매도에도 금일 연기금이 2,723억원 순매수하며 증시하방을 어느 정도 방어해 주었습니다.

▼ 코스닥: -0.20% (683.49)
코스닥 2025년 4월 3일
개인 644억 순매수 / 외국인 -630억 순매도 / 기관 26억 순매수 / 연기금 16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이 각각 순매수 하였으나 외국인의 -630억원 순매도 하며 지수를 끌어 내렸습니다.
코스닥 지수가 5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며 단기하락 후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여전히 20일 이동편균선을 하회하고 있으며 여전히 20일 추세가 하방으로 향하고 있어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연기금 순매수 상위
KOSPI : 삼성바이오로직스 371억, 삼성전자 367억, SK하이닉스 206억, 카카오 187억, KODEX200 128억
KOSDAQ : 알테오젠 50억, 한텍 15억, SOOP 9억, 원텍 9억, JYP Ent. 8억

연기금 순매도 상위
KOSPI : 삼성전기 167억, LG이노텍 85억, LG전자 38억, 한미반도체 33억
KOSDAQ : 에코프로비엠 100억, 안랩 16억

외국인 + 기관 순매수 상위
KOSP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591억, 삼성바이오로직스 551억, 카카오 257억, 유한양행 160억
KOSDAQ : 알테오젠 121억, 디어유 70억, 삼천당제약 50억, 리가켐바이오 38억

외국인 + 기관 순매도 상위
KOSPI : 삼성전자 3,338억, LG전자 726억, 삼성전기 574억, LG이노텍 281억
KOSDAQ : 에이유브랜즈 264억, 서진시스템 75억, 펩트론 69억, 안랩 28억

 

☞ 

시장지표

달러/원 환율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1,463.20 원으로 -0.56% 8.30원 하락하였습니다.
환율 2025-04-03

 

경제캘린더 (주요지표발표)

경제이벤트20250403경제이벤트20250403경제이벤트20250404

금일 장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가 이루어졌으며 한국은 상호관세 25%를 필두로 전세계를 대상으로 관세율이 발표되었습니다. 관세정책의 여파로 장시작과 동시에 외국인의 매도세가 강하게이어졌습니다. 또한 미장 시간외 거래에서는 테슬라를 비롯한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대부분의 빅테크 기업이 큰폭의 하락이 있었습니다.

다만, 우려와 달리 외국인의 매도물량을 국내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들 (특히 연기금이 강하게) 매수하며 장시간 우려와 달리 장후반까지 종가를 올려가며 코스피, 코스닥 양시장이 양봉 마감하였습니다.

 

오늘의 경제 뉴스 한방정리

강한 관세에도 ‘환율 하락’…불확실성 완화·美침체 우려

미국이 한국에 26%의 상호관세와 자동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로 인한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고, 미국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자세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속 숫자, 진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의 쌀 관세가 50%라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할당량 내에서 5%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또한, 한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81%가 국내 생산된 것이라는 그의 발언은 사실이지만, 이는 소비자 선호도와 차량 완성도 등의 요인에 기인합니다. 자세히

 

모건스탠리, 한국 대상 미국 상호관세 ‘예상보다 가혹’ 평가

세계적인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4월 3일 보고서를 통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에 부과한 상호관세가 예상보다 가혹하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반도체와 IT 제품에 대한 부분 면제가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의 수출에 약 0.3%포인트의 하방 위험이 있을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또한, 이번 관세 충격이 2018~2019년의 무역 갈등보다 한국 경제 성장률에 더 큰 하방 압력을 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자세히

“美, 한국산 철강에 25% 관세 부과 검토”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미국의 무역 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치로, 국가 안보를 이유로 특정 수입품에 대한 제한을 가할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며,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코스피 2,500선 또 붕괴… 원·엔 환율 1,000원 눈앞 ‘2년來 최고’

2025년 4월 3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로 인해 국내외 금융시장이 큰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장 초반 2.73% 급락하며 2,500선을 내줬지만, 개인과 기관 투자자의 순매수로 낙폭을 줄여 전 거래일 대비 0.76% 하락한 2,486.70에 마감했습니다. 한편, 원·엔 환율은 달러 약세와 엔화 강세로 인해 오후 3시 30분 기준 996.33원까지 상승하며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자세히

 

“코스피 2,500선 위태…외국인 매도세 지속, 환율 급등”

2025년 4월 3일, 국내 증시는 외국인의 지속적인 매도세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장중 2,500선 아래로 밀렸다가 일부 반등했으며,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1,350원을 넘어서는 등 급등세를 보였으며, 이는 미국의 금리 동결 가능성과 엔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전문가들은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중국산 전기차의 거센 도전…한국 자동차 업계 ‘비상'”

중국산 전기차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차와 기아 등 한국 자동차 업계는 위기감을 느끼고 있으며, 고급 전기차 시장과 차별화된 기술력을 통해 대응하려는 전략을 모색 중입니다. 특히,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미국과 유럽 시장 진출을 강화하고 있으며,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한 모델을 앞세워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 자동차 업계가 기술 혁신과 함께 배터리 효율성 개선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美·中 반도체 전쟁 속 한국의 선택…삼성·SK, 대응 전략은?

미국과 중국 간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 반도체 업계가 어떤 전략을 선택할지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기 위해 수출 제한을 강화하고 있으며, 중국은 자체 기술력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과 중국 양국과의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첨단 반도체 기술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 반도체 기업이 글로벌 공급망 변화 속에서 생존하려면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